분석 단계:시각화 기본 기술No.1:pch 심볼 모양
- in
- 데이터시각화
- on
- 2017.06.23
- at
- 22:15
- by
- cafe.naver.com/dataan
- | 조회수 : 3898
pch 심볼 모양
- 점 모양은 plot 함수의 pch 옵션을 통해 변경이 가능
- 점 모양(symbol)은 Windows 환경에서 256개(0 ~ 255)가 가능
pch=0
- 점 모양 바로 아래 pch 번호가 적혀있다.
- 아무런 모양지정을 안해주는 경우 pch 의 기본값은 1
- 번호 26에서 31까지는 아직 할당 기호가 없는 빈공란임을 유의
- 번호 33에서 127까지는 ASCII 문자기호이고, 그 이후는 Windows 문자기호
16번째 기호와 19번째 기호는 테두리가 없는 것과 있는 것의 차이
❶ 빈 도표 생성
-축에대한 설정 *xaxt, yaxt
xaxt="n", yaxt="n"
A character which specifies the x axis type.
Specifying "n" 축의 플로팅을 금지
-축의 이름
xlab="",ylab="" x축의 이름 y축의 이름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는
-축의 범위
xlim x축의 범위
ylim y축의 범위
- 내부 점찍기
type="n"은 내부에 점을 하나도 찍지 않는
>par(mfrow=c(1,1))
>plot(0:10,0:10,xlim=c(0,64),ylim=c(0,105), type="n",xaxt="n",yaxt="n",xlab="",ylab="")
❷ 점찍고 문자 추가
# plotting symbols, pch
#seq(from, to, by)의 형태로 시작값과 마지막 값, 단위값의 형태로
#seq(1,31,2) 1부터 31까지 2간격씩 데이터 추출
#rep(x, times,length.out, each)
#rep(4,16) 4값을 16번 반복
>x <- seq(1,64,4); y <- rep(10,16)
# x 데이터셋에 있는 값에 위치에 점이 찍음
# (x,y) ==> (1,4) (3,4) ( 5,4)
>points(x,y,pch=0:15, cex=1.2)
# y축의 위치에서 –3 아래 위치에 문자 추가
# 결과적으로 (1,5) (3,5) (5,5)........... 위치에 점을 찍음> text(x,y-5,paste("점모양",as.character(0:15)),cex=0.6)
- 점 모양은 plot 함수의 pch 옵션을 통해 변경이 가능
- 점 모양(symbol)은 Windows 환경에서 256개(0 ~ 255)가 가능
pch=0
- 점 모양 바로 아래 pch 번호가 적혀있다.
- 아무런 모양지정을 안해주는 경우 pch 의 기본값은 1
- 번호 26에서 31까지는 아직 할당 기호가 없는 빈공란임을 유의
- 번호 33에서 127까지는 ASCII 문자기호이고, 그 이후는 Windows 문자기호
16번째 기호와 19번째 기호는 테두리가 없는 것과 있는 것의 차이
❶ 빈 도표 생성
-축에대한 설정 *xaxt, yaxt
xaxt="n", yaxt="n"
A character which specifies the x axis type.
Specifying "n" 축의 플로팅을 금지
-축의 이름
xlab="",ylab="" x축의 이름 y축의 이름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는
-축의 범위
xlim x축의 범위
ylim y축의 범위
- 내부 점찍기
type="n"은 내부에 점을 하나도 찍지 않는
>par(mfrow=c(1,1))
>plot(0:10,0:10,xlim=c(0,64),ylim=c(0,105), type="n",xaxt="n",yaxt="n",xlab="",ylab="")
❷ 점찍고 문자 추가
# plotting symbols, pch
#seq(from, to, by)의 형태로 시작값과 마지막 값, 단위값의 형태로
#seq(1,31,2) 1부터 31까지 2간격씩 데이터 추출
#rep(x, times,length.out, each)
#rep(4,16) 4값을 16번 반복
>x <- seq(1,64,4); y <- rep(10,16)
# x 데이터셋에 있는 값에 위치에 점이 찍음
# (x,y) ==> (1,4) (3,4) ( 5,4)
>points(x,y,pch=0:15, cex=1.2)
# y축의 위치에서 –3 아래 위치에 문자 추가
# 결과적으로 (1,5) (3,5) (5,5)........... 위치에 점을 찍음> text(x,y-5,paste("점모양",as.character(0:15)),cex=0.6)
